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머스 문제

프로그래머스 Java 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문제이름 :

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문제 설명

로또 6/45(이하 '로또'로 표기)는 1부터 45까지의 숫자 중 6개를 찍어서 맞히는 대표적인 복권입니다. 
아래는 로또의 순위를 정하는 방식입니다.

로또를 구매한 민우는 당첨 번호 발표일을 학수고대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민우의 동생이 로또에 낙서를 하여, 일부 번호를 알아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 
당첨 번호 발표 후, 민우는 자신이 구매했던 로또로 당첨이 가능했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를 알아보고 싶어 졌습니다.
알아볼 수 없는 번호를 0으로 표기하기로 하고, 
민우가 구매한 로또 번호 6개가 44, 1, 0, 0, 31 25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당첨 번호 6개가 31, 10, 45, 1, 6, 19라면, 당첨 가능한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의 한 예는 아래와 같습니다.



순서와 상관없이, 구매한 로또에 당첨 번호와 일치하는 번호가 있으면 맞힌 걸로 인정됩니다.
알아볼 수 없는 두 개의 번호를 각각 10, 6이라고 가정하면 3등에 당첨될 수 있습니다.
3등을 만드는 다른 방법들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2등 이상으로 만드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알아볼 수 없는 두 개의 번호를 각각 11, 7이라고 가정하면 5등에 당첨될 수 있습니다.
5등을 만드는 다른 방법들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6등(낙첨)으로 만드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민우가 구매한 로또 번호를 담은 배열 lottos, 당첨 번호를 담은 배열 win_num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당첨 가능한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를 차례대로 배열에 담아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로또의 순위를 정하는 방식

순위 당첨내용
1 6개 번호 모두 일치
2 5개 번호 일치
3 4개 번호 일치
4 3개 번호 일치
5 2개 번호 일치
6(낙첨) 그 외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의 예

당첨번호 31 10 45 1 6 19 결과
최고 순위 번호 31 0 - > 10 44 1 0 ->6 25 4개 번호 일치, 3등
최저 순위 번호 31 0 -> 11 44 1 0 ->7 25 2개 번호 일치, 5등

 

 

코드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lottos, int[] win_nums) {
        HashSet<Integer> winSet = new HashSet<>();
        // rank클래스를 사용하기 위해 객체를 만들어준다.
        rank ran = new rank();
        
        //당첨번호를 winSet에 저장
        for(int winNum : win_nums){
            winSet.add(winNum);
        }
        
        int max = 0;
        int zero = 0;
        
        //lotto에 lottos번호를 넣고 lotto가 0이라면 zero를 1증가하고 
        //winSet에 lotto번호가 포함 되어 있으면 max를 1증가시킨다.
        for(int lotto : lottos){
            if(lotto == 0){
                zero++;
            } else if(winSet.contains(lotto)){
                max++;
            }
        }
        // 최고 순위를 알 기 위해 zero와 max를 더 한다 
        // zero는 lottos의 0의 번호가 당첨번호 였을 경우 0번의 당첨 갯수 .. (max + zero)최고순위
        // max는 lottos의 0의 번호가 당첨번호가 아니였을 경우 로또 번호의 당첨 갯수 .. 최저순위
        int maxRank = ran.ranking(max + zero);
        int minRank = ran.ranking(max);
        
        int[] answer = {maxRank, minRank};
        return answer;
               
    }
}



//최고 순위, 최저 순위 구하는 클래스
class rank {
    public int ranking(int num){
        int Rank = 0;
        
        switch(num){
            case 6:
                Rank = 1;
                break;
            case 5:
                Rank = 2;
                break;
            case 4:
                Rank = 3;
                break;
            case 3:
                Rank = 4;
                break;
            case 2:
                Rank = 5;
                break;
            case 1:
            case 0:
                Rank = 6;
                break;
        }
        
        return Rank;
        
    }
}

 

처음 생각했던 방식:

 

처음엔 배열을 정렬을 해서 풀려고 노력을 했다.

배열을 정렬을 해서 풀려고 하니 로또 번호와 당첨 번호가 다 똑같거나 다 다르거나 할 때는 괜찮은데

군데군데 다른 경우에는 최고 순위를 나오게 하는게 어려웠다.

계속 정렬을 풀고 해보고, 오름차순으로 정렬을 해놓고 해보고, 역순으로 정렬을 해놓고 해봐고, 

이렇게 이것도 해보고 저것도 해보고 했는데 

답이 안 나와서 전부 지우고 처음부터 다시 생각을 했다.


찾아보고 다르게 푼 방식:

생각을 해봐도 안 나오길래 내 블로그를 들어가봤다 (이 때까지 배운 것 중에 뭘 쓸 수 있을 지 볼려고)

들어가서 찬찬히 보고 있으니 Set이 눈에 띄였다. Set은 집합이랑 비슷하기 때문에 배열을 굳이 차례대로

안 봐도 되고, 그냥 포함 되어 있는지를 알려주기 때문에 쓸 수 있겠다 라고 생각했다. 

로또 담첨번호는 중복이 없고, 순서가 상관이 없기 때문

 

Set을 이용해서 풀어보니 처음 생각했던 것보다 좀 더 수월하게 코드를 작성 할 수 있었다.

일단 먼저 HashSet을 사용할 꺼기 때문에 HashSet<> ?? = new HashSet<>();을 해준다음

당첨 번호를 ??에 넣었다 

 

이제 이 당첨번호랑 로또번호랑 비교하고 당첨 갯수에 맞게 등수를 출력해주면 되는 일만 남았다

반복문으로 로또번호를 가지고와 로또번호가 0이라면 zero에다가 1을 증가 시켜준다(zero는 로또 번호의 0이 당첨번호였을 경우의 0번의 당첨 갯수를 저장하는 것. max랑 zero를 더하면 최고 당첨 갯수가 나온다)

그리고 로또번호가 당첨번호에 포함 되어 있는지를 보고 포함되어있으면 max를 1 증가 시켜준다. (max는 로또 번호가 0이 아니였을 경우에 최저 당첨 갯수를 저장하는 것)

최고 당첨 갯수를 클래스 rank에 보내서 조건문을 통해서 당첨 갯수에 맞게 등수를 리턴 해준다.

 


쓴 문법 정리:

HashSet:

set은 집합이랑 비슷하다

순서가 없이 저장 되고, 중복 저장이 되지 않는다.

사용방법은 Hashset<type> ?? = new HashSet<>();

??.add() : 값을 추가;

??.contains(???) : ???가 ??에 포함되어있는지를 확인

반환 타입은 boolean;

 

for( type ?? : ??) :

향상된 반복문으로 앞 부분엔 데이터 타입이랑 변수이름을 적고 : 이거 뒤에는 받을 배열을 넣는다.

값을 받을 배열이랑 데이터 타입은 같게 해줘야한다.

 

switch :

if 조건문이랑 비슷하다.

switch(조건){

case 값:

     실행  

     break;

...

..

.

}

이런 식으로 적는데 조건이 true면 중괄호 안에 있는 걸 실행 시키고 break로 멈춘다 

break를 안 써주게 되면 중괄호 안에 다른 case를 썼을 때 위에서 실행 된 값이 없어지고 쭉 실행되고 마지막에 실행된 case의 값이 반환 된다.